오픈소스 노트 앱 Joplin 세팅과 사용
Joplin
Joplin 소개
Joplin 은 에버노트나 원노트 같은 범용 노트앱입니다.
비슷 하게 웹 클리핑, 텍스트 입력, 폴더와 태그를 통한 노트 정리 기능, 모바일, 데탑 사이의 파일 동기화 기능이 있습니다.
그러면 원노트나 에버노트를 두고 왜 Joplin 을 사용 할까요?
이들 앱과 Joplin 의 차이점은:
- Joplin 은 오픈소스 이고 무료 입니다. (원노트도 무료는 맞죠…)
- Joplin 은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 싱크 서비스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드랍박스, 원드라이브 등등)
- Joplin 은 Markdown 을 지원 합니다.
- Joplin 은 가볍고 또 빠릅니다.
전반적인 기능 설명
시작하기 전에 에버노트, 원노트나, 이 글에서 소개하는 Joplin 같은, 노트앱이 무엇을 해주는 앱인지 한번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사람이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기억해야 하는 정보가 있을때 손쉽게 기록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수첩을 지니고 다니면서 적었었고, 전단지나 서류 같은것을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기도 하고, 스샷을 찍기도 합니다. 타이핑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는것도 하나의 메모 기록 방식이 되겠죠. 스마트폰에도 기본 메모 앱이 있고, 이들도 날이 갈수록 강력해 집니다.
메모 기록에 가장 중요 한것은 신속함 같습니다. 발상이 잊혀지기 전에, 필요한 정보가 있는 서류를 치우기 전에, 당장 앞에있거나 가까운 수단을 이용해 기록을 해야 합니다.
본질적으로 노트앱은 다양한 벙법으로 기록된 메모들을 한곳에 모아서, 약간의 정리기능과 검색을 더해주는 앱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대부분의 노트 앱은 텍스트 입력이 주된 기본 기능이고, 이런 노트를 폴더와 태그를 통해 정리하고 클라우드 싱크를 통해 여러 기기에 동기화 합니다. 유서가 깊은 에버노트 같은 앱은 텍스트 노트 기능에서 시작해서 필기노트 기능, 웹클리핑,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한 PDF 스캔, 음성녹음 등등 여러 입력방식을 지원합니다.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즈, 맥, 리눅스 기기들에 노트를 동기화 해주고, 여러가지 앱들을 통해 노트나 폴더의 공유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래서 에버노트는 아주 강력한데, 앱이 좀 복잡하고 느립니다. (특히 시간이 지나 쌓인 노트가 많아지면 특히 그렇습니다) 원노트는 대표적인 에버노트 경쟁앱이고, 기능적으로 비슷합니다. 원노트의 경우 자체 클라우드가 원드라이브 이고요.
메모는 그자리에서 신속하게 기록 하는것이 중요한데, 앱이 느린것은 생각보다 큰 단점입니다. 그래도 클리핑, 검색, 정리등이 강력하고, 입력방식도 가장 다양하기 때문에 원노트와 에버노트는 이런 부류의 앱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것 같습니다.
이에 비해 Joplin 은 필기 노트나 음성녹음 기능같은 것은 없고, 텍스트 입력과 클리핑이 주된 입력방식입니다. 그대신 앱 실행, 입력, 검색등이 빠르고 정리와 보안 기능도 좋습니다.
Joplin 멀티 플랫폼 노트 앱
Windows
Joplin 은 이 링크 를 통해 다운 받을수 있습니다.
Windows 외에도 MacOS, Linux, Android, iOS, 그리고 특이하게 Terminal 버젼이 있습니다.
원도우즈 앱 설치과정은 일반적인 EXE 파일 실행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앱을 실행하면 이렇게 보입니다.
Joplin 은 사이드 바, 노트 목록, markdown editor 창, note render 창, 이 4가지 컬럼으로 나뉩니다.
사이드 바에서 모든 노트를 선택하면 노트 목록창에 모든 노트가 나열되고, 사이드바에 있는 노트북 목록 에서 특정 노트북을 지정해주면 노트 목록창에 그 노트북에 속한 노트만 보여 줍니다. 태그를 선택하면 그 태그가 달린 모든 노트를 또 보여 주고요.
Joplin 은 markdown 이라는 텍스트 서식 표기 문법을 사용 합니다. Markdown 은 이텔릭체 라던지 굵게 쓰기 같은 문서 디자인 적인 요소를 표시하는 몇가지 코드 이고, 이 코드들을 작성하고 있는 문서에 직접 입력 하면서 출력되는 문서에 나타나게 합니다.
흔히 Markdown 을 지원하는 에디터 앱은 코드창/출력(render)창이 따로 있습니다. 코드를 입력하면서 문서를 작성하니까, 프리뷰를 항상 옆에서 보여주는것이죠.
Joplin 도 에디터 창, 렌더 창이 따로 있으나, 이것 말고도 워드나 다른 문서 편집 앱 처럼 코딩을 숨기고 출력물을 보여주는 모드 도 있습니다. WYSIWYG Editor 라고 하고 메뉴에서 [보기]–>[레이아웃 버튼순서]–> [split view/WYSIWYG} 를 선택하면 설정할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스크린 크기만 충분하다면 2개의 창으로 코드 따로, 출력물 따로 보는것이 더 직관적이라고 생각 됩니다.
아이패드 앱에서는 화면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대문에 wysiwyg 입니다.
Windows 버젼 설정
메뉴에서 도구 –> 옵션 으로 가면 설정창이 나옵니다.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세팅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옵션 창에 일반 탭 입니다.
여기서는 언어를 한글로 설정할수 있고, 날자, 시간 형식을 바꿀수 있습니다. PDF 출력은 A4 용지로 바꿀수 있고요.
다음은 웹 클리핑 을 설치 해 보겠습니다:
불여우나 크롬 확장기능을 설치하고 고급옵션의 인증토큰 코드를 클리핑 add-on 이 요구할때 복사해 넣어주면 됩니다.
Windows 한글 입력 버그 고치기
Joplin 은 한글 입력에 버그가 있습니다.
한글을 입력하다 보면 글 사이에 이상한 문자가 보입니다. 이것은 desktop 버젼에만 있는 문제이고, 제가 알기론 아이패드, 안드로이드는 이 문제가 없습니다.
어쨌던 이것을 고쳐야 쓸만하게 되겠죠. 그 방법은 이 링크 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git hub 패치 설명 link]
- 우선 이 폰트 를 다운 받아야 합니다. 같은 github 사이트 다운로드 링크 이고, 파일명은 “NoLSEP.ttf” 입니다.
- 이것을 더블클릭 하면 폰트 미리보기가 뜨고, 설치해 줍니다. 이리하고 나서 윈도우즈 설치 폴더에 fonts 폴더를 찾아보면 NoLSEP 폰트가 보입니다.
- 그리고 Joplin 옵션창으로 가서 “보기” 탭에서 편집기 글꼴 모음 창에 “NoLSEP.ttf” 라고 입력해 줍니다.
4. Joplin 을 한번 종료 해주고 다시 시작해야 하는데, 시스템 트레이 에서 Joplin 앱을 찾아 우 클릭으로 종료를 선택 해야 합니다.
동기화
동기화는 local, dropbox, webDAV, oneDrive, NexCloud 가 가능하고, 서비스 마다 연동 세팅 과정이 조금씩 다르나 쉽습니다. dropbox 는 고유 코드를 하나 받고, dropbox 에 연동 신청을 누르고 이 코드를 입력 해야 했던것으로 기억 합니다.
암호화
Joplin 은 설치된 기기 마다 기기내에서 따로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설치할때 암호 패스워드를 정해 줍니다. 동기화를 시키면 같은 dropbox 계정에 연동되는 Joplin 이 설치된 다른 기기들이 나오고, 그 기기들에서 동기화 되어 오는 암호화 된 노트들을 해독하기 위해서 그 기기 패스워드를 입력해줘야 합니다.
Markdown
노트 앱 하나 쓰는데 코드까지 배울 필요가 있나 싶을수도 있습니다. 딱히 markdown 을 배울 필요는 물론 없습니다. WYSIWYG 모드로 쓰면 되니까요.
Markdown 은 상당히 간단해서 별로 배울것이 없고, 보이지 않는 코드 보다 직관적입니다. 그리고 markdown 이 조금만 숙련 되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작성하게 되는 문서의 거의 대부분을 노트앱에서 작성 할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메모는 텍스트에 그다지 표식이 많이 들어가지 않죠.
아래에 자주 쓰는 마크다운 코드 몇개만 정리 해 보겠습니다.
체크 리스트 “- [ ]”
목록
굵게/눕혀 쓰기
테이블
인용
링크
사진 링크
마크다운을 통해 간단한 할일 목록도 만들수 있고, 체크 박스를 클릭/눌러서 할일이 끝났음을 표시할수도 있습니다.
Joplin 에서는 markdown 말고도 katex 을 통해 아래와 같은 복잡한 수학 방정식 을 표현할수도 있고
약간의 코드를 통해 이런 간단한 플로우 차트도 만들수 있습니다:

위의 플로우 차트를 만드는 markdown 코드 입니다:

웹 클리핑
웹 클리핑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 브라우저에서 다음 증권 페이지로 가서 Joplin Clipper 를 실행했습니다. 옵션은 Clip complete page, 노트북은 GTDist, 태그는 지정 안하고 제목은 Daum 금융 으로 정했습니다.
- Joplin 으로 돌아와 보면 제가 지정한 GTDist 노트북에 Daum 금용 페이지가 클리핑 되어 있는것이 보입니다.
- render 창에 있는 그래프를 우 클릭 하면 그림만 열거나 저장할수도 있고 경로를 클립보드에 복사 하는것도 가능한것이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클리핑 한 사이트에서 필요한 그림, 문구, 링크등을 빼서 쓸수 있습니다.
Joplin 노트 사이의 링크
마지막으로 Joplin 에서는 앱 내의 다른 노트로 가는 링크를 쓸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클리핑한 Daum 금융 페이지 (인터넷 링크가 아닌, 클리핑 된 오늘 daum 금융 페이지 노트) 노트를 우 클릭 하면 마크다운 링크 복사가 선택 가능 합니다.
이것을 선택해서 현제 쓰고 있는 노트에 복사하면
[Daum 금융](:/e1efad92171945e19ad029376fc5a8b0)
이렇게 나오네요. e1efad… 나오는 긴 파일명이 드랍박스에 저장된 암호화 된 md 파일 입니다.
이런 식으로 간단한 프로젝트 계획 을 세우거나 브레인스토밍을 할때 회의록 이나 클리핑한 문서를 참고할수 있도록 링크를 첨부 할수 잇습니다.
Conclusion
짧게 써본다 했는데 또 길어 졌네요.
Joplin 은 많은 면에서 에버노트의 오픈소스 대안으로 만들어 졌다고 볼수 있고, 에버노트를 써보신 분은 쉽게 적응할수 있습니다.
에버노트에서 데이터를 이전 하는것도 가능 한데요, 그건 또 스샷 많고 얘기가 길어 지니가 다음에 한번 다루어 보기로 하겠습니다.
Bear, Notion, SimpleNote, Noto, Apple Notes 등 에버노트와 원노트 말고도 많은 노트 앱들이 존재 하는데, 모두 잘 디자인된 좋은 앱 들입니다.
Bear, Notion, Simplenote, Noto 또한 Joplin 처럼 markdown 을 지원 합니다.
앱 마다 장단점이 있겠지만 이들 앱들은 제 기준으로 치명적인 단점들이 하나씩 있었습니다. 잠깐만 위의 좋은 앱들을 안쓰고 Joplin 을 쓰는 이유를 하나씩만 들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앱 | 단점 |
---|---|
bear | Windows 앱 부재; 현제 윈도우 환경에서는 클라우드로도 노트 열람 못함 |
Notion | 강력하고 좋은데 너무 기능이 많음 – 에버노트와 비슷하게 될것 같음 (단점 도). 에버노트 데아터 이전 했더니 이것도 상당히 느림 |
SimpleNote | 정말 텍스트만 됨 – 사진 첨부 불가; 클리핑 기능 부재 |
Noto | Windows 앱 부재 |
Apple Note | Windows 앱 부재 |
Joplin 도 단점이 있죠. 우선 한국에 사용자가 많지 않아 문제 생기면 영문 포럼에 도움을 청해야 하고,또 보시다 싶이 세팅 할것이 좀 많습니다.
iOS 14 부터 파일 확장자 마다 그것을 여는 기본 앱을 사용자가 설정 할수 있게 해준다고 합니다. 이것이 실현되면 dropbox 의 .md 파일 링크를 제가 할일 관리 하는 앱 (Editorial) 에다 입력하고, 누르면 joplin 을 띄울수 있게 됩니다.
이게 아주 필요한것이, 모든 노트는 암호화가 되어있고, 그 key 를 joplin 앱만 알고 있기 때문에, 흔한 .md 파일이라도 joplin 에서 열어야만 볼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아주 본격적인 참고파일, 프로젝트 파일 저장 매체가 될수 있고, 현제로서는 Joplin 은 아이디어, 웹 자료 수집함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에버노트 뮤료 계정의 한계가 답답하시거나, 이런 부류의 앱을 한번 써 볼까 고려하시는 분은 Joplin 을 한번 설치해 보시기를 추천 합니다. 아마, 이걸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고, 개인적인 자료 정리, 메모 기록/수집/정리 수단으로서 부족함은 없을듯 합니다.
2020-06-29
저 질문이 있습니다. 검색으로 이 앱을 찾게 되었고 에버노트 대체로 사용하려고 했는데 치명적인 문제가 발견되었는데 해결법을 모르겠습니다.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본 글들을 스크랩하면 이미지 품질이 저하되어 스크랩이 되어서 이미지가 포함된 글들은 아무것도 읽을 수가 없습니다.
2020-06-30
안녕하세요 김덕연님.
저는 커뮤니티 글을 클리핑 해본적이 없어서 시험 삼아 디씨에 오른 글을 한번 클리핑 해보니 Joplin, 에버노트 둘다 이미지는 저장이 안되는것을 볼수 있네요. 네이버 블로그 같은것은 잘 되고요.
Joplin 게시판에 한번 이 문제를 검색해 봤습니다. https://github.com/laurent22/joplin/issues/1917
사이트가 클리핑에서 이미지를 차단하거나 저화질로 저장하게 하는 경우는 클리핑 개발자 쪽에서 할수 있는것이 없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대안으로 Joplin 웹 클리퍼 스샷을 통해서 저장하시거나 (글이 긴 경우는 여러번 클리핑을 해야 되서 번거롭습니다) 페이지를 PDF 로 출력해서 따로 저장하시거나, 다른 웹클리퍼를 쓰시고 Joplin 으로 import 하시는 방법이 있을것 같습니다.
만족스럽지 못한 답이 되어 버렸네요.
2020-12-21
안녕하세요? 님 블로그를 보고 8년간 써왔던 에버노트에서 조플린으로 갈아탔습니다.(생전 처음 해킹이란걸 에버노트로 2번이나 당했고 유료로 쓰기엔 사용량이 많지 않아서)
조플린 설치한지 이틀 째고 어느 정도 익숙해졌습니다만
글꼴, 글색깔 변경
복수의 노트 합치기
를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설마 안되는건가요?
2020-12-21
안녕하세요? 님 블로그를 보고 8년간 써왔던 에버노트에서 조플린으로 갈아탔습니다.(생전 처음 해킹이란걸 에버노트로 2번이나 당했고 유료로 쓰기엔 사용량이 많지 않아서)
조플린 설치한지 이틀 째고 어느 정도 익숙해졌습니다만
글꼴, 글색깔 변경
복수의 노트 합치기
를 어떻게 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설마 안되는건가요?
2021-01-21
gtdlog때 부터 잘 보고 있습니다.
2021-03-12
[…] 언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s://katanist.com/2020/03/31/%EC%98%A4%ED%94%88%EC%86%8C%EC%8A%A4-%EB%85%B8%ED%8A%B8-%EC%95%B1-jo… 를 […]
2021-04-07
개쩌는 어플과 개쩌는 사용설명서
2021-07-19
좋은 글 감사합니다.
2021-08-20
[…] 언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s://katanist.com/2020/03/31/%EC%98%A4%ED%94%88%EC%86%8C%EC%8A%A4-%EB%85%B8%ED%8A%B8-%EC%95%B1-jo… 를 […]
2021-08-27
[…] 언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s://katanist.com/2020/03/31/%EC%98%A4%ED%94%88%EC%86%8C%EC%8A%A4-%EB%85%B8%ED%8A%B8-%EC%95%B1-jo… 를 […]
2021-09-02
웹클리퍼 어떻게 하는건지 모르겠네… 좀 알려주실분
2021-11-08
어떤 부분이 어려우세요?
2021-12-08
[…] 언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s://katanist.com/2020/03/31/%EC%98%A4%ED%94%88%EC%86%8C%EC%8A%A4-%EB%85%B8%ED%8A%B8-%EC%95%B1-jo… 를 […]
2021-12-09
[…] 처음 Joplin 을 소개한 글을 올린지 몇가지 큰 업데이트를 통해 Joplin 의 기능이 많이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