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노트 앱 Joplin 세팅과 사용 2 – 플러그인 설치와 사용

제가 처음 Joplin 을 소개한 글을 올린지 몇가지 큰 업데이트를 통해 Joplin 의 기능이 많이 향상 되었습니다.
우선 (확인은 안해 봤지만) 한글 깨짐 문제가 해결된듯 하고, 싱크 되는 기기별 암호해제 패스워드가 따로 있던것이 하나의 마스터 패스워드로 통합된것 같고, 가장 크게, 플러그인을 지원 하게 되었습니다.
플러그인 덕분에 처음 소개글을 쓰던 당시와 2021년 12월 현제에 쓰고 있는 Joplin 세팅이 조금 달라졌고, 플러그인 을 통해 더해진 바가 많아 몇가지만 소개 해볼까 합니다.
오래되었다고는 하나, 이전 소개글 의 앱 설치법, 마크다운에 관한 내용은 한번 보고 이글을 보시기를 권합니다.

플러그인 설치법

플러그인은 Joplin 에 기능적 요소를 더해주는 작은 코드 입니다. 브라우저의 익스텐션 같은 개념이고, Joplin 에서는 노트 관련된 기능들이 더해 지겠죠.

우선 설치법을 살펴 보겠습니다.

  1. Joplin update 를 실행해주어야 합니다.
    윈도우 상단의 도움말 메뉴에서업데이트확인을 누르면 최신버젼으로 업데이트가 됩니다. 제가 마지막 들을 올린후 많은 업데이트가 진행 되어 한글 깨짐 문제가 해결된것 같고, 또 암호화 된 노트를 기기마다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 없이 하나의 패스워드로 볼수 있게 된것 같습니다.
  2. 플러그인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조플린 플러그인 저장소 에서 원하는 플러그인을 다운 받고 나중에 찾을수 있는 자리에 저장해 줍니다. 파일 확장자는 .JPL 이고 플러그인 파일명이 그냥 Plugin.jpl 인 경우가 많은데, 나중에 무엇인지 알수 있도록 이름을 바꿔주면 좋습니다.

    2. 상단 메뉴의 도구 --> 옵션으로 갑니다
    3. 옵션 윈도우에서 플러그인 탭을 선택하고 (왼쪽에 있습니다). 제 스샷은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는것이 보이지만 처음 설치하시면 목록이 비어 있을것입니다.
    4. "플러그인 관리" 옆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 "플러그인 파일로 설치" 를 선택 합니다
    5. 뜨는 익스플로러 윈도우에서 아까 다운 받은 파일을 찾아 줍니다.
    6. 프러그인을 설치하거나 끄면 변경사항이 적용되기 위해 Joplin 을 다시 시작해주어야 합니다. "지금 재시작" 링크를 눌러 실행해 줍니다.

조금 불친절 한데 어렵지는 않습니다.
한번 설치하면 plugin update 는 다시 받을 필요 없이 옵션창에서 진행할수 있습니다.

그러면 (플러그인이 많아 포괄적인 소개는 못 드리고) 지극히 개인적인 조플린 플러그인 세팅, 사용법, 사용 하는 이유만을 보여 드릴까 합니다.

인터페이스 개선 플러그인

탭 생성 플러그인

플러그인 링크 NoteTabs

Joplin 안에서 탭을 생성해 여러 노트를 열어 놓을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 입니다.
탭은 모두가 쓰는 브라우저에도 있는 기능이니까 쓰임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설치/세팅

프러그인을 설치하면 탭을 따로 열을 생성해서 나열해 줍니다.

이렇게 쓰고 싶은 사람은 별로 없을듯 하고, 이걸 가로 본능으로 만들고 편집열 위로 옴겨 보겠습니다.
우선 화면 상단 메뉴에서 보기를 선택하고 애플리케이션 레이아웃 변경 이라는 옵션을 선택합니다.

화면에 Joplin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열을 재 배치 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컬럼으로 되어있는 탭열을 화살표를 사용해 편집창 위로 옮기고

창 높이를 조절해 적절한 탭 열을 만들어 줍니다.
Esc 키를 눌러 설정창을 나가 주면 배치한 대로 조플린의 여러 구성 요소들이 자리잡혀 있는것이 보입니다.

사용법

노트북 열에서 노트를 클릭해서 선택하면 편집열에 노트가 열리고, 노트를 선택하고 왼쪽 클릭을 누른 상태에서 탭 나열 창으로 드래그 해주면 새 탭이 생성 됩니다. 한번 생성된 탭에 이미 열려있는 노트는 노트북 열에서 선택을 해주면 새로 열리지 않고, 열린 탭이 편집열에 보입니다.

플러그인 링크  Outline

노트의 markdown 헤딩을 이용해 노트 아웃라인을 생성해 줍니다. 또 헤딩 마다 링크가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Outline 창의 링크를 눌러 노트의 특정 부분을 왔다 갔다 할수 있습니다.
노트가 길어져 스크롤로 왔다갔다 하기가 불편해지기 시작하면 유용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Outline 창의 위치를 조절할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링크  Links Metadata

노트 안에 있는 모든 외부 웹 링크의 목록을 따로 만들어 보여 줍니다. 검색을 하면서 노트에 자료를 정리할때 복사한 모든 링크를 한곳에 모아 정리해줘 유용 합니다.

사용법

이 두 플러그인은 그냥 세팅해놓으면 따로 사용법은 없고, 배경에서 돌면서 지속적으로 링크와 아웃라인을 정리 해 줍니다.

플러그인 링크 NoteList + Side Bar toggle buttons

설명

버튼 토글 플러그인 을 설치하면 편집열 노트 제목 칸 오른쪽에 몇가지 버튼을 생성해 줍니다.

링크 버튼 바로 왼쪽의 막대기 3개 버튼은 노트북 열을 보였다 안보였다 하게 해주고, 막대기 4개 버튼은 노트북 안에 노트목록 열을 보였다 안보였다 하게 해줍니다.

랩탑 노트북이나 화면 크기가 작은 상황에서 이용하면 제한된 화면 공간을 조금더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노트 정리, 작성 향상 플러그인

Tag - 노트 내용 키워드를 사용한 자동 태그 생성 플러그인

플러그인 링크 Tags Generator

설명

플러그인 설치후 노트 목록 열에서 노트를 선택하고 우클릭을 해주면 "Generate Tags..." 라는 옵션이 생깁니다.

이 옵션을 선택해 주고 실행 하라고 확인해 주면

프러그인 이 노트 내용을 읽고 자동으로 자주 등장하는 단어를 태그로 생성해 줍니다.
편집열 하단에 이글에 플러그인을 적용한후 생성된 태그가 보입니다.

Better Markdown Viewer - keeps cursor synced between editor and MD viewer

설명

이 플러그인은 편집창에서 쓰고 있는 글이 길어지거나, 사진이 많이 들어가면 마크다운 창과 미리보기 창의 내용이 맞아 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플러그인 입니다. 무슨 이유인지 제가 여러번 설치해 보았으나 매번 Joplin 이 먹통이 되어 버려 지우고 다시 설치 하지 않으면 해결이 안되어서 써보지는 못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아직 권하지는 못하고, 이 기능이 되기만 하면 좋을것 같기는 해서 혹시 저만 그런 문제가 있는것일수도 있고, 추후에 업데이트로 문제가 해결될수도 있으니 우선 이런게 있다는 내용만 올려보고 나중에 이글을 업데이트 하던, 따로 소개 하던 하겠습니다.

다른 노트로 빠른 링크 생성 + 백링크 자동 생성 플러그인

노트 링크 시스템 플러그인 링크  NoteLink System

 

배경 설명

하나의 노트와 다른 노트가 가질수 있는 연관성은 아주 많습니다. 같은 주제에 대한 다른 정보를 포함할수도 있고, 하나가 다른 노트의 참고자료가 될수도 있고, 하나는 내 생각을 적은 노트이고 다른 노트는 거기에 관련된 웹 클리핑일수도 있고, 아주 다양하죠. 일반적으로 이런 연관성을 같은 노트북에 저장하여 나타내거나, 태그를 사용해서 노트들이 다른 노트북에 있더라도 주제별 연관성을 나타내죠.

노트북만 가지고는 노트들이 가질수 있는 다양한 연관성을 다 기록하기 힘들고, 아주 직렬적인 정리만 가능합니다. 또 태그는 찾어보기 위해 검색을 반드시 요구하고 태그가 일정 숫자를 넘기면 다 머리에 기럭하기 힘들어 검색 하기전에 태그를 기억해내야 하는 저항이 생깁니다. 이런 정리수단은 아주 평면적인 몇가지의 관계 (날자, 주제 같은)를 나타내기에 좋고, 우리 머리가 생각해낼수 있는 자료와 자료 사이의 다양한 종류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기록하기에는 좀 부족 합니다.

여러 노트 관리법을 보면, 정보와 정보 사이의 관계를 새로 알아 차리는것은 하나의 발상인데, 이것을 나중에 보더라도 알기 쉽게 기록하는것은 태그와 노트북만 가지고 쉽지 않습니다.

Joplin 에서 노트와 노트사이의 정확한 연관성을 표시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노트 내용에 어떻게 다른 노트와 상관이 있는지 생각났을때 상세하게 쓰고 (참고 자료, 중복되는 내용, 비슷한 주제 등등) 노트의 그 부분에 링크를 생성 하는것입니다.

사용법

편집창에서 외부 노트로 링크 생성 하기 "@@"

Plugin 을 설치하고 "@@" (Shift + 2, 골뱅이 두번) 을 입력하면 그 자리에 노트 검색창이 뜹니다.


최근 노트 목록을 보여 주는것 같은데, 제 개인 노트가 많이 나와 블러 했더니 이게 좀 쌔게 되어서 하나밖에 안나온것 처럼 보이네요 T.T

원하는 노트가 검색창에 나타나지 않았다면 키워드를 입력하기 시작해 검색을 할수 있습니다. 링크는 문서 초반, 아니면 구체적인 헤딩으로 링크 될수 있습니다.

선택한 노트의 구체적인 헤딩도 선택해 링크 할수 있습니다.

이과정을 마치면 노트 내용에 링크가 삽입된어 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렇게 Joplin 안의 다른 노트 링크를 생성하 주면 링크된 노트에도 쓰고 있는 노트로 가는 링크가 생성 됩니다. 이 기능을 BackLink, 백링크라고 하고, 하나의 노트에 그 노트를 참고하는 모든 노트로 돌아가는 링크를 생성합니다.

그러면 링크가 된 노트를 한번 가보면, 몇가지 부분에 BackLink 가 생성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우선 노트 내용 상단에 Backlinks 라는 헤딩이 만들어 지고, 그 안에 그 노트를 링크/참고 하는 노트로 (거꾸로) 가는 링크가 생성된것이 보입니다.
편집열 상단에 손가락질(?) 아이콘을 누르면 이 링크들만 따로 Referrers 라는 컬럼에 저장된것이 보입니다. 이 컬럼은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원하는 위치와 크기를 정할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링크를 따라 노트 사이를 왔다갔다 할수 있게 많은 정보를 정리해 놓은 대표적인 예가 Wikipedia 입니다.

이 백링크 개념은 Zettelkasten 이라는 노트 정리법에 나오는 내용인데, 현제에는 개인적으로 활용하고 있지는 않아 나중에 기회가 되면 따로 소개를 해보겠습니다. 백링크를 지원하는 노트앱은 아주 많은데, Roam 과 Obsidian 이 대표적이고, VimWiki 라는 플러그인 을 이용해 VIM Editor 에서도 많이 구현 합니다. 그래도 또 이전하기 싫으니까 저는 Joplin 으로 구축 하기로...

자동 링크 생성 플러그인

플러그인 링크 Make All Links

이 플러그인은 노트 내용을 분석하고 다른 노트에 대한 언급이 있으면 자동 링크 생성을 해줍니다. 버튼을 눌러 실행해 줍니다. 자동화가 그렇듯이 가끔 엉뚱하게 행동할수도 있고, 제가 선호 하는 방식은 위의 "@@" 을 사용한 링크 생성 입니다.

 

이게 다 입니다 ㅎㅎㅎ.

제가 처음 Joplin 을 소개 하는 글을 올렸을때 버젼 1.x 를 쓰고 있었고, 많은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이 향상 되면서 한번 2021년 12월 에 쓰고 있는 Joplin 세팅을 한번 소개해 볼까 했습니다. 이 글을 쓰면서 스샷의 소스가 된 Joplin 버젼은 2.5.12 입니다.
글 재주 없는 사람의 오타 작렬하는 긴 글 끝가지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코멘트 주시면 늦게라도 답하도록 해보겠습니다.

 

1 Comment

  1. […] 오픈소스 노트 앱 Joplin 플러그인 설치와 세팅 […]

    Reply

Leave a Reply

Scroll to top
%d bloggers like this: